논문 20

숙의민주주의 개관 (2) 김주형(2018), 임동균·나윤영(2021), 임동균(2018)

계속해서, 이론적 배경에 활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문헌들을 정리한다.정리의 원칙: 요약하기 귀찮거나 표현을 참고하고 싶은 부분은 긁어 복붙해 놓는다. 중요하고 흥미롭더라도 내 논문에 필요없는 내용은 건너뛴다. 내가 패러프레이징한 부분은 음슴체로 작성한다.1. 김주형(2018). 숙의와 민주주의: 토의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본 공론화위원회. 현대정치연구, 11(3), 69-104.[나의 요약: 공론화위원회와 같은 숙의 포럼을 갈등관리 수단으로 인식하는 경향에 반대하며, 숙의 포럼을 민주주의와 사회 전반의 토의 역량의 관점에서 바라볼 것을 주장함. 미니공중 내부에서의 숙의가 토의민주주의의 문제의식 전반을 대표하지는 않음. 숙의 포럼에 대한 평가에서는 특정 사안에 대한 탁월한 합의를 도출했는지 여부보다는 사회 전체..

논문/읽은 것 2024.05.02

숙의민주주의 개관 (1) Dryzek et al. (2019), Baechtiger et al. (2018), Curato et al. (2017)

숙의민주주의 개관하는 권위적인 최신 논문들. 숙의민주주의 입문용으로 추천한다.석사논문의 이론적 배경 장에서 활용하고자 주요 내용 일부를 정리해 둔다.1. Dryzek et al. (2019). The crisis of democracy and the science of deliberationDryzek, J. S., Bächtiger, A., Chambers, S., Cohen, J., Druckman, J. N., Felicetti, A., Fishkin, J. S., Farrell, D. M., Fung, A., Gutmann, A., Landemore, H., Mansbridge, J., Marien, S., Neblo, M. A., Niemeyer, S., Setälä, M., Slothuus, ..

논문/읽은 것 2024.04.27

숙의 관련 학위논문들의 이론적 배경 장을 읽음

서론에 해당하는 프로포절을 썼고, IRB 심의 신청했고, 이제 IRB 기다리며 이론적 배경 파트를 쓰려고 한다. 이렇게 빠듯하게 하면 안 되는 거였다. 논문 제출 1년 전부터는 IRB 사이트를 들락거렸어야 한다. 더구나 주변에 실험연구 하는 선배나 동료도 없고, 나도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시작하는 처지이므로 더 미리미리 했어야 한다. 이제 이론적 배경을 써야 하는데, 뭘 해야 하지? 논문 작성은 시험 공부 계획 짜듯이 계획할 수가 없다. '이론적 배경 쓰기'라는 과업을 세분화해서 시간 계획을 하는 게 불가능하다. 어떤 과정을 거쳐 쓸지 미리 알 수가 없다. 해 보면서 방법을 찾는 수밖에 없다. 논문은 계속 이렇다. '이론적 배경을 써야지'라고 생각하고 나서 이리저리 헤맨 다음 처음으로 집중해서 한 게..

논문/읽은 것 2024.04.19

논문 개요에 대해 받은 피드백

이전까지 쓴 것을 더 발전시켜서 2월 6일 전공세미나에 목차 포함 11쪽의 논문 개요를 가져가서 피드백을 받았고, 세미나 전후로도 여러 선생님들이 내 논문 주제에 대해 흔쾌히 이야기 나누어주셨다. 정말 감사했고, 유익했다. 논문 구상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과 많이 이야기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S선생님, J샘, 현담, 교수님, 전공세미나 D샘 Y샘 H샘, 사무실 S샘, 동양 교수님, 엄마 의견: - 개인적 서사를 독립변수로 쓰는 것에 대한 의문: 숙의 자료의 성격 중에서 왜 개인적 서사에 주목했는가? 선행연구에 무엇이 있길래? 개인적 서사를 숙의에서 활용하는 게 바람직한지 의문이다(감정에 호소하는 오류 아닌가?). 삶의 배경을 이해하면 정말 더 건설적 숙의가 되나(니 서사도 있어?! 내 서사도 있어!! ..

23-2 경험과학적연구방법론 수업 노트

2023년도 2학기 경험과학적연구방법론(백순근 교수님) 수업에서 필기한 내용 중 일부. 연구하면서 가져야 할 기본적인 자세 같은 것들을 알아서들 알음알음 주워듣도록 내버려두는 게 아니라 경력 많은 교수님이 대놓고 안내해주시는 수업이 있다는 게 참 좋았다. 교재: 백순근(2018).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교육연구 및 통계분석(수정판). 교육과학사. 1. 공부와 연구의 차이 연구와 공부는 다름. 학위논문은 본인이 공부한 것을 정리하는 게 아님. 공부는 끝이 없지만, 연구는 전공의 룰에 따라 조그만 성과를 적당히 잘라넣는 것. 공부를 잘하는 게 연구를 잘하는 게 아님. 연구를 잘 하려면 전공생들과 많이 놀아야 함. 주제에 대해 너무 많이 공부하면 안 됨. 아무 도움이 안 됨. 나는 요즘도 많이 읽으면 일주일에..

뭐라도 써본 연구 개요: 논거의 성격이 숙의의 질과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

수업 과제로 일단 어떻게든 작성해본 논문 개요. 선행연구 검토가 부족해 실험설계를 전혀 만족스럽게 할 수 없었는데, 부랴부랴 뭐라도 분량 맞춰 내고 나니까 좀 앞으로 뭘 해야 할지 명료해진 듯. (교수님이 자꾸 시작을 미루기보다는 뭐라도 써본 다음에 수정할 것을 강조하셨는데, 그 말씀이 맞는 듯.) 동료 수강생들 피드백: - (실험설계의 구체화 필요성) 양극화는 사전 사후 설문을 통해 측정하려는지? 숙의 과정에서 연구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통제집단의 글쓰기 과제물도 DQI로 평가하는지? 실험 시작할 때 오리엔테이션 단계를 두어서 예시를 들어 설명해주어야 하지 않을지? - (실험 효과성에 대한 우려) 한 차시만으로 질적 차이가 나타날지? 주제의 영향력이 클 것 같은데, 이 실험을 통해 연구문제가 대답될..

논문 주제 탐색 진행 상황: 숙의의 질

23.8.28. 세미나에서 공유함.- 교수님 피드백: 실험연구가 적합한 주제들인 것 같다. 다음에는 Ercan et al. eds. (2022)의 방법론 책 읽고 관심있는 장 정리하고, 실험연구 활용한 McAvoy & McAvoy 등 논문 예시들 정리해보면 좋겠다. - 동료들 피드백: 재밌을 거 같다 (말만이라도 감사합니다 ㅜㅜ) (관심 있는 주제들을 탐색했으나, 연구문제를 구체화하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1. 관심 연구 문제1) 숙의의 이상과 현실- 다양한 의견을 가진 사람들과 개방적, 협력적으로 숙의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 시민교육의 중요한 과제로서 관심을 받음(정창우, 2022; CoE, 2016 등등). - 숙의적 역량은 실제 숙의를 통해 길러진다는 데 광범위한 합의가 있음(Samu..

교실 숙의에 대한 경험적 접근: Samuelsson(2016), Reich(2007), Hess & McAvoy(2015)

Samuelsson, M. (2016). Education for deliberative democracy: A typology of classroom discussions. Democracy and Education, 24(1), 5. # 민주적 숙의의 요건을 구체화하고, 사례 분석에 적용하며 유형화 틀 확립 # https://democracyeducationjournal.org/ 흥미로운 저널? 숙의민주주의를 위해 필요한 기능, 태도, 가치는 실제 민주적 숙의에 참여함으로써 학습된다는 데 광범위한 합의가 있음(Samuelsson & Bøyum, 2015). 숙의민주주의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수업 방법으로서의 숙의에 대한 경험연구 간 괴리가 있음. 두 갈래의 연구를 연결시킬 필요가 있음. (The re..

논문/읽은 것 2023.08.06

다시, 논문 주제 및 리딩 리스트: 집단 숙의 메커니즘과 교실 토론

23.4.10. 전공 세미나에 가져갔던 리딩리스트. 교수님 코멘트 - 주제 좋다. 양극화 문제 심해서 그 맥락 관련 논문 많다. 이론적 배경에 하버마스 같은 것들 논의 정리 잘 하고... - 고등학생 대상으로 이념적 양극화 관련 자료 수집하는 건 IRB 통과하기 어려울 수 있다. 대학생 대상으로 해도 좋겠다. - McAvoy, & McAvoy 논문 추천 [McAvoy & McAvoy. (2021). “Can debate and deliberation reduce partisan divisions? : evidence from a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하버마스 전공 박사과정 선생님 코멘트 - 하버마스 원전 읽지 마세요^^ - 정치적 숙의 측정 도구: Steenberge..

토론은 집단의 기존 입장을 강화할 뿐인가? Sunstein (2002), The Law of Group Polarization

Sunstein, C. R. (2002). The Law of Group Polarization. The Journal of Political Philosophy, 10(2), 175-195. [세 줄 요약] 집단 숙의는 참가자들의 기존 입장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집단적 극단화' 현상은 사회적 이미지 유지 추구와 편향된 논변 풀이라는 두 가지 집단 역동에 기인한다. 숙의가 이러한 기제 때문이 아니라 논변의 타당성에 따라 전개되게끔 집단을 구성하는 방향의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 한편 고립된 동질적 집단 내 토론은 집단적 극단화를 통해 사회 파편화와 극단주의를 발생시킬 위험도 있지만, 억압되었던 소수의 목소리를 키워줌으로써 사회 전체의 논변 풀을 다양화해주는 이점도 있다. 이러한..

논문/읽은 것 2023.03.16

시민교육 논문들: Campbell (2019), Fitzgerald et al. (2021), Westheimer (2019)

교수님의 지난 학기 '시민교육론 연구' 수업 리딩리스트 중 논문 세 편. Campbell, D. E. (2019). What social scientists have learned about civic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94(1), 32-47. - 대의민주주의에서 유권자의 정치 지식 부족 문제, 투표 등 시민적 참여 저하, 미국 내 정치적 갈등 격화 등 문제에 대해 시민교육이 해답으로 제시되어 옴. 그러나 시민교육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증거는 부족. - 시민교육 연구가 부족한 이유 중 하나는 시민교육이 시민적 참여에 영향이 없다는 오해 때문인데, 이는 경험적으로 반박됨. 시민교육이 시민적 지식, 관심..

논문/읽은 것 2023.02.28

학위논문 연구 관련 안내 자료들 (4) Durkin (2021), Writing Strategies

Durkin, Diane Bennett. (2021). Writing Strategies for the Education Dissertation. Routledge. * 교육 분야 박사논문에 초점 * 논문 작성의 형식적인 면뿐만 아니라 쓰는 과정과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자세히 조언해주는 책. * 이번 정리에서도, 문헌검토 이후 부분 작성 관련 내용은 건너뜀. Chapter 1. De-mythologizing the process: Changing one’s mindset - 기여하는 바가 있는 주제를 찾으라는 것은, 거대한 국가적 문제를 해결하라는 것이 아니라, 선행연구의 한계나 다음 단계로서 필요한 바를 더하라는 것: The requirement of contribution leads many to t..

학위논문 연구 관련 안내 자료들 (3) Kornuta & Germaine (2019), A Concise Guide

Halyna M. Kornuta and Ron W. Germaine (2019). A Concise Guide to Writing a Thesis or Dissertation: Educational Research and Beyond. Second Edition. Routledge. (First edition self-published 2006) * 교육 분야 연구에 초점화된 책. * 정말 구체적으로 논문의 각 챕터의 포맷과 첫 문장 시작하는 법부터 그 장에서 써야 할 동사 시제까지 친절하게 알려줌. 논문 작성 매 단계에 다시 펴서 참고할 만한 책. * 제목대로, 간략함(작은 페이지로 117쪽). Part I. The big picture 2) Topic development - 열정이 가는 주제를 선정..

학위논문 연구 관련 안내 자료들 (2) Fleming (2021), Survival Skills

Fleming, R.S.(2021).Survival Skills for Thesis and Dissertation Candidates.Springer. * 챕터별로 주요 팁과 함께 여러 대학원생들의 경험에 기초한 조언들을 수록해 좋음. * 각 챕터 bibliography에 다른 논문작성 가이드 서적을 많이 소개해 줌. * 각 단계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고, 비현실적으로 성급한 계획을 갖지 말라는 방향의 조언이 많음. * 아직 내겐 멀게 느껴지는, 논문 작성 단계별 구체적인 사항은 정리하지 않음. Ch. 1. Your Commitment is Essential to Success - 단단히 마음먹기: understand that this will be one of the most challenging an..

학위논문 연구 관련 안내 자료들(교육 분야 중심) (1)

What is an Ed.D. Dissertation? Complete Guide & Support Resources https://www.eddprograms.org/resources/dissertation-guide/ Guide to the Doctor of Education (EdD) Dissertation https://www.onlineeddprograms.com/guides/edd-dissertations - Five-chapter dissertation의 구성: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Research Methodology, (4) Results & Analysis, (5) Discussions & Conclusions WRITING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