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읽은 것 10

숙의민주주의 개관 (2) 김주형(2018), 임동균·나윤영(2021), 임동균(2018)

계속해서, 이론적 배경에 활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문헌들을 정리한다.정리의 원칙: 요약하기 귀찮거나 표현을 참고하고 싶은 부분은 긁어 복붙해 놓는다. 중요하고 흥미롭더라도 내 논문에 필요없는 내용은 건너뛴다. 내가 패러프레이징한 부분은 음슴체로 작성한다.1. 김주형(2018). 숙의와 민주주의: 토의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본 공론화위원회. 현대정치연구, 11(3), 69-104.[나의 요약: 공론화위원회와 같은 숙의 포럼을 갈등관리 수단으로 인식하는 경향에 반대하며, 숙의 포럼을 민주주의와 사회 전반의 토의 역량의 관점에서 바라볼 것을 주장함. 미니공중 내부에서의 숙의가 토의민주주의의 문제의식 전반을 대표하지는 않음. 숙의 포럼에 대한 평가에서는 특정 사안에 대한 탁월한 합의를 도출했는지 여부보다는 사회 전체..

논문/읽은 것 2024.05.02

숙의민주주의 개관 (1) Dryzek et al. (2019), Baechtiger et al. (2018), Curato et al. (2017)

숙의민주주의 개관하는 권위적인 최신 논문들. 숙의민주주의 입문용으로 추천한다.석사논문의 이론적 배경 장에서 활용하고자 주요 내용 일부를 정리해 둔다.1. Dryzek et al. (2019). The crisis of democracy and the science of deliberationDryzek, J. S., Bächtiger, A., Chambers, S., Cohen, J., Druckman, J. N., Felicetti, A., Fishkin, J. S., Farrell, D. M., Fung, A., Gutmann, A., Landemore, H., Mansbridge, J., Marien, S., Neblo, M. A., Niemeyer, S., Setälä, M., Slothuus, ..

논문/읽은 것 2024.04.27

숙의 관련 학위논문들의 이론적 배경 장을 읽음

서론에 해당하는 프로포절을 썼고, IRB 심의 신청했고, 이제 IRB 기다리며 이론적 배경 파트를 쓰려고 한다. 이렇게 빠듯하게 하면 안 되는 거였다. 논문 제출 1년 전부터는 IRB 사이트를 들락거렸어야 한다. 더구나 주변에 실험연구 하는 선배나 동료도 없고, 나도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시작하는 처지이므로 더 미리미리 했어야 한다. 이제 이론적 배경을 써야 하는데, 뭘 해야 하지? 논문 작성은 시험 공부 계획 짜듯이 계획할 수가 없다. '이론적 배경 쓰기'라는 과업을 세분화해서 시간 계획을 하는 게 불가능하다. 어떤 과정을 거쳐 쓸지 미리 알 수가 없다. 해 보면서 방법을 찾는 수밖에 없다. 논문은 계속 이렇다. '이론적 배경을 써야지'라고 생각하고 나서 이리저리 헤맨 다음 처음으로 집중해서 한 게..

논문/읽은 것 2024.04.19

교실 숙의에 대한 경험적 접근: Samuelsson(2016), Reich(2007), Hess & McAvoy(2015)

Samuelsson, M. (2016). Education for deliberative democracy: A typology of classroom discussions. Democracy and Education, 24(1), 5. # 민주적 숙의의 요건을 구체화하고, 사례 분석에 적용하며 유형화 틀 확립 # https://democracyeducationjournal.org/ 흥미로운 저널? 숙의민주주의를 위해 필요한 기능, 태도, 가치는 실제 민주적 숙의에 참여함으로써 학습된다는 데 광범위한 합의가 있음(Samuelsson & Bøyum, 2015). 숙의민주주의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수업 방법으로서의 숙의에 대한 경험연구 간 괴리가 있음. 두 갈래의 연구를 연결시킬 필요가 있음. (The re..

논문/읽은 것 2023.08.06

토론은 집단의 기존 입장을 강화할 뿐인가? Sunstein (2002), The Law of Group Polarization

Sunstein, C. R. (2002). The Law of Group Polarization. The Journal of Political Philosophy, 10(2), 175-195. [세 줄 요약] 집단 숙의는 참가자들의 기존 입장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집단적 극단화' 현상은 사회적 이미지 유지 추구와 편향된 논변 풀이라는 두 가지 집단 역동에 기인한다. 숙의가 이러한 기제 때문이 아니라 논변의 타당성에 따라 전개되게끔 집단을 구성하는 방향의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 한편 고립된 동질적 집단 내 토론은 집단적 극단화를 통해 사회 파편화와 극단주의를 발생시킬 위험도 있지만, 억압되었던 소수의 목소리를 키워줌으로써 사회 전체의 논변 풀을 다양화해주는 이점도 있다. 이러한..

논문/읽은 것 2023.03.16

시민교육 논문들: Campbell (2019), Fitzgerald et al. (2021), Westheimer (2019)

교수님의 지난 학기 '시민교육론 연구' 수업 리딩리스트 중 논문 세 편. Campbell, D. E. (2019). What social scientists have learned about civic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94(1), 32-47. - 대의민주주의에서 유권자의 정치 지식 부족 문제, 투표 등 시민적 참여 저하, 미국 내 정치적 갈등 격화 등 문제에 대해 시민교육이 해답으로 제시되어 옴. 그러나 시민교육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증거는 부족. - 시민교육 연구가 부족한 이유 중 하나는 시민교육이 시민적 참여에 영향이 없다는 오해 때문인데, 이는 경험적으로 반박됨. 시민교육이 시민적 지식, 관심..

논문/읽은 것 2023.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