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보연(2024). 설보연 SANTA 교육학 2(개정 2판). 해커스임용.
DAVE(2024). 원페이지 교육학 상(개정7판). 도서출판 새벽노을.
이선화(2024). 이선화 교육학 잇썸 요약노트. 미래가치.
구글링:
Theories of Intelligence in Psychology https://www.verywellmind.com/theories-of-intelligence-2795035
What Is Intelligence In Psychology https://www.simplypsychology.org/intelligence.html
위키피디아: g factor (psychometrics) https://en.wikipedia.org/wiki/G_factor_(psychometrics)
Sternberg, R. J. (1999). The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3(4), 292-316.
Sternberg, R. J. (2003). A broad view of intelligence: The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55(3), 139.
# 엄청 오래된 이론들이다 ㄷ.ㄷ
I. 지능이론
1. 스피어만(Spearman, 1904)의 일반요인(g요인)
- 여러 인지 능력 검사 중 한 가지에서 잘하는 사람은 다른 검사에서도 잘 한다는 것을 발견. 즉, 여러 지능검사 결과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 스피어만은 각 검사에 특수한 요인인 s요인과, 검사들 간 정적 상관을 설명하는 g요인이라는 두 가지 요인으로 모든 지능검사 결과를 설명함(2요인설, two-factor theory). [2011 중등] 우리 반 영철이는 IQ가 높아서인지 공부를 참 잘해요. 과목별 점수로 봐도 영철이가 거의 전교 1, 2등이잖아요. 머리가 좋으니까 나중에 어떤 직업을 갖더라도 잘할 거예요.
- 일반요인(g요인): 모든 정신적 과정에 관련하는 하나의 일반적인 지능(즉, 한 개인의 일반적인 지능을 나타내는 단일한 요인이 있음)
- 특수요인(s요인): 특수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능력
- 캐롤(Carroll, 1993, 1997)의 3계층 이론(three stratum theory): 최근의 많은 지능이론은 지능을 일반지능(g)뿐만 아니라 보다 특수한 하위 층위의 지능들로 이루어진 위계적인 구조로 분석함. 캐롤의 3계층 이론에서 가장 상위의 층에는 모든 지적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지능(g)이 있고, 그 아래 두 번째 층에는 8개의 광범위한 능력들이 있으며, 마지막 층에는 광범위한 능력 하위의 좁은 능력 70여 개가 있음.
* 광범위한 능력(broad abilities): fluid intelligence (Gf), crystallized intelligence (Gc), general memory and learning (Gy), broad visual perception (Gv), broad auditory perception (Gu), broad retrieval ability (Gr), broad cognitive speediness (Gs), and processing speed (Gt).
2. 써스톤(Thurstone, 1938)의 중다요인(군집요인, 다요인설primary mental abilities)
- 지능은 하나의 일반적인 능력이 아니고, 상호 독립적인 일곱 가지 기초정신능력(primary mental abilities, PMA)으로 구성됨 [2020 7급] 지능의 구성요인으로 7개의 기본정신능력이 존재한다.
- PMA: 기억력(associative memory), 수리력(numerical ability), 지각 속도(perceptual speed), 추리력(reasoning), 공간지각능력(spatial visualization), 언어이해력(verbal comprehension), 언어유창성(word fluency)
- 개인마다 우수한 능력이 다름
- 길포드(Guilford, 1955)의 지능구조(Structure of Intellect: SI) 이론: 써스톤 이론을 계승, 확장하여 지능의 구조를 3개 차원으로 구분 -- 조작 차원(operations dimension), 내용 차원(content dimension), 산출 차원(product dimension). [이: 내용영역 차원, 인지활동 차원, 결과 차원] [2020 7급] 지능은 내용, 산출, 조작의 세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카텔과 혼(Cattell & Horn, 1966)의 유동지능과 결정지능
- 스피어만의 g요인이나 써스톤의 PMA는 모두 유동지능과 결정지능으로 구분됨 [2020 7급] 카텔(R. B. Cattell)은 지능을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으로 구분하고, 결정적 지능은 교육이나 훈련의 결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2011 중등] 제 생각엔 지능이 한 가지 경로로만 발달하지는 않는 것 같아요. 기억력처럼 뇌 발달과 비례하는 능력들도 있지만, 언어이해력과 같은 것들은 문화적 환경과 경험에 의해 발달하잖아요.
(1) 유동지능(fluid intelligence, 유동성 지능):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요인으로, 청년기까지 발달하고 그 이후에는 쇠퇴함. 문화나 교육과는 관계없는, 생리적.신경적 요인에 의해 발달하는 지능. 기억력, 암기력, 추리력, 정보처리속도 등. [SimplyPsychology.org: 사전 지식 없이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2014 7급] 유동지능은 탈문화적이고 비언어적인 능력과 관련되며 두뇌 발달에 영향을 받는다.
(2) 결정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 결정성 지능): 환경, 경험, 문화, 교육의 영향으로 발달하는 지능으로, 성인기 이후에도 꾸준히 발달함. 어휘력, 상식, 일반지식 등. [SimplyPsychology.org: 사전에 습득한 지식의 활용] [2011 초등] 카텔(R. Cattell)의 결정성 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이란 환경적•문화적•경험적 영향에 의해 발달하는 지능으로, 자신의 학습과 경험을 적용하여 획득한 능력을 말한다.
- [이: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을 종합하여 일반 지능으로 정리]
4. 가드너(Gardner, 1983, 1987)의 다중지능
- 지능은 단일한 능력이 아니라 다수의 능력으로 구성됨. 9개의 상호 독립적인 지능이 있음. 각각 뇌의 특정 부위와 관련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시점에 다른 방식으로 발달함.
- 전통적인 IQ검사는 한 사람의 지능을 온전하게 측정하지 못함.
- 각 문화마다 가치 있다고 여기는 지적 능력이 다름.
- [2010 초등] "인간의 지적 능력은 상호독립적인 여러 개의 지능으로 구성되므로 특정 영역에서만 뛰어난 성취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vs. "박 교사는 (가) 학생의 지적 능력은 일반적인 단일능력이기 때문에 지능이 높은 학생은 전 교과에서 높은 보일 것이라고 생각")
- [2020 7급] 8개의 독립적인 지능이 존재하며, 각각의 지능의 가치는 문화나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
- [2011 중등] 우리 반 순희는 언어와 수리 교과는 잘하지만, 음악이나 체육은 재능이 없어 보여요. 친구들 하고 잘 어울리지도 못해요. 그런 것을 보면 지능이 높다고 뭐든 잘하는 것 같지는 않아요. 그리고 공부분만 아니라 인간관계 능력이나 다른 것들도 지적 능력에 포함되는 것이 아닐까요? 결국, 영역별로 지적 능력이 따로 있는 것 같아요.
- [2022 9급] 지능은 사회문화적 맥락의 영향을 받는, 서로 독립적인 다양한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 [2011 초등] 가드너(H.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에서는 여러 지능들이 상호 독립적이며 각각의 상대적 중요성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 [2017 7급] 가드너(Gardner)는 지능이 높으면 모든 영역에서 우수하다고 간주하는 종래의 지능이론을 비판하고 지능이 상호독립적인 여러 지능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했다.
다중지능의 성분
(1) 언어(linguistic)지능: 언어에 대한 민감성과 언어를 효과적으로 구사하는 능력 (시인, 언론인)
(2) 논리수학(logical-mathematical)지능: 논리적, 수학적 사고 능력 (과학자, 수학자)
(3) [시각-]공간([visual-]spatial)지능: 공간적 세계를 시각화하는 능력 (항해사, 건축가) [2007 초등] <박 교사가 이용하려는 지능: 시각-공간 지능> 다중 지능을 이용한 수학 수업에서 박 교사는 나눗셈의 풀이 과정을 세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 풀이 과정을 세 개의 네모 칸에 기록하였다. 그런 후 네모 칸에 각각 다른 색을 칠하여 풀이 과정을 색깔별로 구분하고 색깔과 연결지어 나눗셈의 풀이 과정을 기억하도록 가르쳤다.
(4) 신체운동(bodily-kinesthetic)지능: 몸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능력 (무용가, 운동선수)
(5) 음악(musical)지능: 소리의 요소들을 지각하고 표현하는 능력 (음악가)
(6) 대인관계(interpersonal)지능: 타인의 감정과 의도를 지각하는 능력 (심리상담가, 정치지도자)
(7) 개인 내(intrapersonal) 지능: 자기 내면을 이해하는 능력 (철학자; 인생의 모든 성공에 기여)
(8) 자연(naturalist)지능: 생물종들을 이해하고 (생물학자, 농부)
(9) 실존(existential)지능: 삶의 의미, 죽음, 인간적 조건 등에 대한 민감성 (종교인, 철학자)
교육적 시사점
(1) 9가지 지능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9개 지능을 통합적으로 발달시키는 전인교육 실시하기. 여러 지능을 활용하고 계발할 수 있도록 수업을 창의적으로 구성하기
(2) 획일적인 학교교육이 아닌 학생 개개인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맞춤형/개별화 교육 실시하기. 학생들의 지능 구성의 차이를 인정하고, 개인차를 고려. [2022 9급] 학습자는 누구나 강점 지능과 약점 지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수업방식을 다양화하는 교육 방식이 필요하다.
(3) 학교 수업과 평가는 학생의 강점 지능을 활용하고 약점 지능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 학생의 강점 지능을 활용하여 여러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방법인 2차적 통로를 활용하기(예: 신체운동지능이 뛰어난 학생에게 수학을 가르칠 때 운동적 요소를 사용)
(4) 다양한 형태의 수행평가를 통해 각 학생의 다양한 지능을 파악하고, 적절한 학습 방법을 제공하기
(5) 다양한 수업 도입 전략으로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기: 서술적(narrational) 도입전략(주제와 관련되는 이야기 제시), 논리-수학적 도입전략, 심미적 도입전략, 경험적 도입전략(실험), 대인관계적 도입전략(타인과 함께 학습), 실존적·근원적 도입전략(주제에 대한 철학적 질문 제시) [2011 초등] 서술적 도입 전략: 김 교사는 신라의 역사에 관한 수업의 도입 단계에서 신라건국 시조인 박혁거세의 탄생에 얽힌 전설과 즉위 후에 보여준 뛰어난 지도력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학생들은 김 교사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수업시간에 배울 내용에 대해 흥미를 갖게 되었다.
[2002 중등] 최근에 대두된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 도덕지능(Moral Intelligence), 성공지능(Successful Intelligence)에 관한 논의들은 지능을 어떤 능력으로 보려고 하는가? ③ 실제적 삶의 영위 능력
5. 스턴버그(Sternberg, 1985)의 삼원지능이론(triarchic theory of intelligence)
[Sternberg, 1999: The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has four key elements.]
1. [Sternberg, 1999: 성공지능이란 자신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자신의 개인적 기준에 따른 성공을 삶에서 성취하는 능력(Intelligence is defined in terms of the ability to achieve success in life in terms of one's personal standards, within one's sociocultural context).] [성공지능이란 삶에서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
- 전통 지능이론은 불완전하고 예측력 약하다고 비판하며, 지능 개념을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
Because people’s conceptions of intelligence seem much more linked to real-world success than is the conventional conception of intelligence, it may be useful to think in terms of the concept of successful intelligence, which deals not just with intelligence in its academic aspect, but intelligence as it pertains to all aspects of life. (Sternberg, 2003: 141)
1. Intelligence is defined in terms of the ability to achieve success in life in terms of one’s personal standards, within one’s sociocultural context. (Sternberg, 2003: 141)
전통적 지능이론은 불완전하고 예측력 약함. 지능 개념을 확장해야 함. In this article I have provided data suggesting that conventional theories and tests of intelligence are incomplete. The general factor results in part from limitations in populations of individuals tested, types of materials with which they are tested, and types of methods used in testing. Indeed, our studies show that even when one wants to predict school performance, the conventional tests are somewhat limited in their predictive validity (Sternberg & Williams, 1997). [...] The time perhaps has come to expand our notion and everyone’s notion of what it means to be intelligent. (Sternberg, 2003: 151)
2. [Sternberg, 1999: 성공을 달성하는 능력은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고 약점을 보완하는 데 달려 있다. 각 직업을 가진 각각의 사람들은 능력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성공을 달성한다.]
3. [Sternberg, 1999: 성공은 분석적, 창의적, 실제적 능력의 균형을 통해 달성된다. [지능은 분석적(analytical) 지능, 창의적(creative) 지능, 실제적(practical) 지능으로 구성됨.]
[2014 7급] 삼원지능이론에서는 일상적인 문제와 사회적 상황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반응하는 것이 지능의 주요 요소 중의 하나이다.
- 성공지능(successful intelligence)을 위해서는 세 가지가 모두 필요. 성공지능이란 삶에서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 스턴버그의 지능이론에는 세 가지(성분적componential, 경험적experiential, 맥락적contextual) 하위이론(subtheory)이 있고, 세 하위이론이 세 가지 지능과 관련됨.
(1) 분석적 지능: 문제를 분석, 판단, 평가, 비교하는 능력. 표준적 IQ검사를 통해 측정되는 학문적 지능. [이: 문제를 분석하라. 문제를 평가하라. 설명하라. 비교하라. 판단하라.] (성분[요소] 하위이론: 지적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처리과정에는 세 요소가 있음: 메타요소metacomponent, 수행요소performance component, 지식습득요소knowledge-acquisition component. Componential subtheory: deals with the components of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oposed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and its development (Sternberg, 1980b, 1984, 1985a, 1990, 1997), a common set of processes underlies all aspects of intelligence. These processes are hypothesized to be universal.)
- 메타요소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획, 점검, 평가하는 고등정신 능력(Metacomponents, or executive processes, plan what to do, monitor things as they are being done, and evaluate things after they are done. Examples of metacomponents are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a problem, defining the nature of the problem, deciding on a strategy for solving the problem, monitoring the solution of the problem, and evaluating the solution after the problem is solved.)
- 수행요소 - 메타요소의 계획에 따라 실제로 수행하는 정신 능력(Performance components execute the instructions of the metacomponents. For example, inference is used to decide how two stimuli are related, and application is used to apply what one has inferred (Sternberg, 1977). Other examples of performance components are comparison of stimuli, justification of a given response as adequate although not ideal, and actually making the response.)
- 지식습득요소 - 메타요소와 수행요소를 고려해 새로운 지식이나 문제해결방법을 학습하는 정신 능력(Knowledge-acquisition components are used to learn how to solve problems or simply to acquire declarative knowledge in the first place (Sternberg, 1985a). Selective encoding is used to decide what information is relevant in the context of one's learning. Selective comparison is used to bring old information to bear on new problems. And selective combination is used to put together the selectively encoded and compared information into a single and sometimes insightful solution to a problem.)
(2) 창의적 지능: 새로운 상황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능력 + 정보처리를 자동화하는 능력. [이: 만들어라. 개발하라. 새로운 방법을 탐색하라. 상상하라. 가정하라.] (경험 하위이론: 경험은 새로움novelty과 자동화라는 두 극단을 가진 연속선. Experiential subtheory: deals with the importance of coping with relative novelty)
(3) 실제적 지능: 외부 환경에 적응하고 + 환경을 변화시키고 + 더 나은 환경을 선택하는 능력 [실습해 보라. 배운 것을 사용해 보라. 공식을 활용하라. 원리를 적용하라.] (맥락[상황] 하위이론: 지능은 개인을 둘러싼 환경과 연결되어 있음. Contextual subtheory: deals with processes of adaptation, shaping, and selection)
[2008 초등] 스턴버그(R. J. 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에서 상황적 하위이론(contextual sub theory)에 부합하는 능력은? ② 원만한 인간관계, 사회적 유능성, 뛰어난 적응력 등과 같은 실제적 능력
[2007 전문상담] <보기>에서 스턴버그의 실제적 지능에 대한 바른 설명으로 묶인 것은? ㄷ. 일상생활에서 배우는 암묵적 지식에 기초한 능력 / ㄹ. 성공할 수 있는 환경을 선택하고 그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
[2006 초등] 철수는 공부할 때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 자기 방문에 ‘공부중’ 이란 팻말을 걸어두었다. 스턴버그가 제안한 지능의 삼원이론에서 볼 때, 이런 행동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④ 실제적 기능
- 시사점: 3가지 지능을 모두 반영한 수업, 학생의 강점 극대화와 단점 보완, 학생의 환경과 능력을 고려한 수업과 평가
[2009 중등]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스턴버그의 성공지능이론의 공통점: 인간의 지능을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이해한다. / 학교수업과 평가는 학생의 강점 지능을 활용하고 약점지능을 교정•보완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6.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
- 정서지능: 자신이나 타인의 감정을 인지·표현·통제·조절하는 능력 (가드너의 다중지능 중 '개인 내 지능', '대인관계 지능'을 중시)
[2017 7급] 정서지능은 개인의 정서적 능력이 학교에서의 성공 및 사회에서의 성공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샐로비와 메이어(Salovey and Mayer): 정서지능의 4영역 4수준 16요소 모형
- 영역 I. 정서의 인식, 평가, 표현: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기분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
- 영역 II. 정서를 통한 사고의 촉진: 중요한 사건에 주의를 기울이게 하여 사고를 형성하고 촉진하는 능력
- 영역 III. 정서의 이해와 분석: 정서를 이해하고 정서 정보에 담긴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
- 영역 IV. 정서의 반성적 조절: 정서적-지적 성장의 향상을 위하여 정서를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능력
골만(Goleman): 개인내적지능x2, 대인관계지능x2
(골만은 지능 IQ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사는 것은 아님을 발견.)
- 자기감정 인식
- 자기감정 조절(+자신을 동기부여하는 능력)
- 타인감정 인식
- 관계 조절: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 팀워크
정서 지능을 높이는 교수·학습방법
- 토의·토론, 협동학습, 역할놀이 등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정서적 인지, 조절,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기
- 감정 관련 수업: 다양한 표정에 나타난 감정을 구별하여 인식하는 수업, 부정적 감정을 인식할 때 조절하는 방법을 연습하는 수업 등
II. 지능검사
1. 비네-시몬 검사
- 최초의 지능검사(1905). 정규 교육과정을 따라가지 못해 특수한 지도가 필요한 학습부진아를 판별하기 위해 고안.
- 해당 연령집단의 평균능력에 기초한 지능점수인 '정신연령'으로 지능을 표현.
- 언어성 검사(대부분의 문항을 문자로 구성)
2. 스탠포드-비네 검사: 비율IQ
- 지능지수(비율IQ) 개념을 도입한 최초의 검사. 학업 성취도 예언에 많이 사용함. Terman이 비네-시몬 검사를 기반으로 개발
- 비율IQ = (정신연령/생활연령) X100
e.g. 정신연령 10세, 생활연령 8세면 IQ 125
- 문제점:
(1) 사람의 실제 나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정신연령은 15세 이후 거의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연령대에 따라서 지능지수가 가지는 의미가 달라짐
(2) 너무 어렵거나 쉬운 문제를 제외하므로 아주 우수한 아동·청소년을 선별하기에는 부적합함
(3) 언어능력 손상이 있는 사람의 지능지수는 측정하기 어려움
3. 웩슬러 아동지능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편차 IQ
- 스텐포드-비네 검사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함. 지능을 같은 연령집단 내에서의 상대적 위치로 규정하는 IQ.
- 편차 IQ = 100 + (15*표준편차)
e.g. 평균보다 2표준편차 높은 학생은 IQ 130
- 평균±2표준편차 이내면 정상지능, 평균+2표준편차 이상은 영재, 평균-2표준편차 이상이면 장애
- [이: 언어적 검사와 비언어적 검사를 결합]
성인용(WAIS-IV), 아동용(WISC-IV), 영유아용(WTPSI-IV)이 있고, 한국판 K-WISC가 개발됨.
[2012 중등] 김 교사: 지난번에 현우와 연수에게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로 이루어진 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 학생의 지능지수가 유사하게 나온 것을 보니 두 학생의 지적 능력은 비슷하다고 보아도 좋을 것 같아요.
4. 문화공평검사(문화평형검사)
- 기존의 검사도구의 문화적·계층적 편향성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기존의 검사는 검사 결과가 문화적·경제적 차이에 따라 불공정하게 해석된다는 문제가 있었음)
[2012 초등, 특수] 수미는 어렸을 때부터 줄곧 외국에 살면서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다녔다. 최근에 귀국한 수미는 언어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력 평가에서 국어 30점, 수학 40점을 받아 기초학력 부진으로 의심되었다. 김 교사는 수미의 학력부진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상담센터에 심리검사를 의뢰하였다. 상담센터에서는 수미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사회적•문화적 배경을 지닌 아동의 지적 능력을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는 문화공평검사(culture-fair test)를 실시하고자 한다.
[2012 중등] 이 교사: 제가 보기에도 현우와 연수가 서로 다른 지적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 같은데, 혹시 지능검사 자체가 갖고 있는 문화적 편파(culmral bias)가 영향을 미친 결과가 아닐까요? 그래서 저는 문화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제거하거나 그 영향을 최소화한 문화평형검사(culture-fair test)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1) SOMPA검사(System of Multicultural Pluralistic Assessment, 다문화검사체제): 5~11세 아동 중 저소득층 아동에게 유용한 검사로, 웩슬러의 아동용 지능검사를 해석하는 데 아동의 의료적 요소(키, 몸무게, 시각, 청각, 예민성 등), 사회적 요소(교우관계, 학교 외 생활), 문화, 인종, 사회경제적 배경을 고려함
(2) 카우프만 아동평가 종합검사(K-ABC, K-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아동의 학습잠재력과 성취도를 측정함. 연령에 따라 다른 검사문항을 사용함. 비언어성 검사를 포함하므로 청각장애, 언어장애, 외국인 아동에게 유용한 측정치를 제공함. [패턴인지, 도형유추, 손동작 반복과 같은 과제를 제시]
(3) 레이븐(Raven) 지능검사: 만 3~6세 대상의 색채누진행렬 지능검사(CPM: Coloured Progressive Matrices), 초등학교 1~6학년 대상의 표준누진행렬 지능검사(SPM: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가 있음. 시·공간적 지각력과 추론능력을 통하여 지적 능력을 평가함. 언어이해력과 무관한 범문화적 검사로 문화적·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하며 장애아동에게도 사용할 수 있음.
5. 지능지수 해석 시 주의점
- 지능지수는 지능과 같은 것이 아니라, 지능을 나타내는 아주 작은 지표임. 학생 이해의 참고자료 중 하나로 활용해야 함.
- 지능지수는 고정된 점수가 아니라 변화 가능한 것으로 인식해야 함
- 플린효과(Flynn effect): 전체 인구의 지능검사 점수가 해를 거듭할수록 높아지는 세계적인 경향(원인: 정신적 활동을 더 많이 요구하는 사회, IQ 테스트의 반복 효과, 교육의 확대, 영양 섭취 증가, 조기교육)
- 위 지능검사들은 서구 심리학자들이 만든 것이지만, 다른 문화에서는 지능을 다르게 규정함
'임용고시 서브노트 >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심리 (6) 인지양식 (0) | 2024.04.23 |
---|---|
교육심리 (5) 창의성 (1) | 2024.04.22 |
교육심리 (3) 도덕성·사회성 발달: 콜버그, 브론펜브레너, 셀만 (1) | 2024.03.11 |
교육심리 (2) 성격·정체성·자아개념 발달: 에릭슨, 마샤 (0) | 2024.02.04 |
교육심리 (1) 인지발달: 피아제, 비고츠키 (5)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