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고시 서브노트/교육학

교육심리 (9) 동기 c. 목표지향이론, ARCS 모형, 포부수준

neon_eidos 2024. 5. 18. 09:11

설보연(2024). 설보연 SANTA 교육학 2(개정 2판). 해커스임용. [설]
DAVE(2022). 원페이지 교육학 상(6판). 도서출판 새벽노을. [원]

 

1. 드웩(Dweck)의 목표지향이론(goal orientation theory)

목표의 유형과 마인드셋

  • 목표의 두 유형: 숙달목표와 수행목표 (두 종류의 목표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동시에 추구되기도 한다.) 
    [2010 초등] 실수를 해도 새로운 일에 도전하고 그 일을 하면서 느끼는 성취감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있는 반면, 어떤 학생들은 점수도 점수지만 항상 친구들과의 비교를 중요하게 생각하더군요. 
    [2015 9급] 학생들의 학습동기는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숙달(mastery)에 초점을 맞추는 학생은 공부의 목적을 학습 자체에 두고 지식이나 기능을 습득하며, 적극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고, 도전적인 과제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수행(performance)에 초점을 맞추는 학생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거나 인정을 받기 위해 공부하며, 어려운 과제보다 쉬운 과제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 능력에 대한 고정적 관점(entity view of ability / fixed mindset, 정체이론)을 가진 학생은 능력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받기 위해 수행목표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고, 능력에 대한 증가적 신념(incremental view of ability / growth mindset, 증가이론)을 가진 학생은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므로 숙달목표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음. 
  • 숙달목표(mastery goal orientation, 학습목표, 과제목표): 과제의 숙달 자체를 추구하는 목표. [이: 과제를 달성하는 것, 향상, 이해 증진에 초점을 둔 목표]
    • 숙달목표를 추구하는 학습자는 자신의 능력을 향상하는 데 관심을 두며, 성공에 대한 기준이 자기 내부에 있음. [2020 7급] 절대적, 내적 자기참조 기준
    • 메타인지를 비롯한 심층적인 인지적 전략을 사용함.
    • 도전적인 과제를 기꺼이 선택하고, 어려움이 있어도 지속적으로 도전함 [2020 7급] 도전 추구 [2017 7급] 어려움이나 실패에 직면했을 때에도 학습을 지속해 나가는 경향이 있다. 학습기회를 극대화하는 과제를 선택하고 도전하는 경향이 있다.
    • 도움을 적극적으로 요청함. [2008 초등] 어려운 과제에 직면했을 때 타인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요청한다. [2017 7급] 자신의 능력을 진단하고 향상을 도울 수 있는 피드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 [2008 초등] 내재적 동기가 높으며, 도전적이고 의미 있는 과제에 가치를 부여한다.
    • 노력에 귀인하는 성향. [2020 7급] 노력 귀인
    • 학습에 대한 높은 흥미와 성취도.
    • 즐거움, 희망, 자부심 등 긍정적 정서를 느끼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과제에 초점을 맞춤.
  • 수행목표(performance goal orientation): 타인과의 비교 속에서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려는 목표. 타인에 의한 평가와 타인과의 비교에 관심을 둠. [2012 중등] 영희는 자신의 능력이 다른 사람의 능력과 어떻게 비교되느냐에 주된 관심을 갖고 있고, 학교에서 높은 성적을 받아 자신의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공부한다. [...] (ㄱ) 개인의 지적 능력은 변하지 않는다는 관점을 갖기 쉽다. (ㄹ) ‘우리 반 광수보다 더 높은 점수 받기’와 같은 목표를 설정한다.
    • 표면적·기계적인 학습전략 사용.
    • 능력에 귀인하는 성향(→회피적, 방어적 대응, 자기손상화 전략 사용).
    • 능력에 대한 고정적 신념을 갖기 쉬움.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쉬운 과제를 선택하며, 평가 기준이 불명확한 과제를 싫어함.
    •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것을 주저하고, 도움을 적절히 구하지 못함. 성취도 낮음.

목표의 세분화: 접근(approach)와 회피(avoid) 접근의 구분(Ames)

  1. 숙달접근목표: 과제의 숙달과 학습이 목표(‘나는 수업에서 가능한 많은 것을 배우고 싶어.’). 학습에 대한 내재적 흥미와 긍정적 태도, 높은 학습참여도. 학습의 내재적 가치 존중. 자기조절, 심층적 정보처리와 관련된 학습전략. 도전적 과제 선호. 실패는 노력 부족으로 귀인.
  2. 숙달회피목표: 과제 숙달의 실패를 피하려는 목표(‘나는 오늘 배운 것을 이해하지 못하면 안 돼.’). 이 유형의 학습자는 오류 없이 정답을 정확히 맞히려는 완벽주의자 경향을 보임.  
  3. 수행접근목표: 남들보다 우수하게 평가받으려는 목표(‘나는 오늘 시험에서 다른 친구들보다 좋은 점수를 얻을 거야.’) 자신감이 있고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지나, 실패할 경우 좌절감을 느낌. 도전적 과제를 기피하고, 피상적·단기적 학습 전략을 선호하며, 실패를 능력 부족으로 귀인함. 목표에 이르는 정도까지만 노력을 기울이며, 목표를 이룰 수 없다고 생각될 때 노력을 하지 않거나 부정행위를 하는 역기능도 있음. 실패에 대한 두려움, 불안, 절망감, 수치심을 학업 상황에서 많이 느낌. [2020 7급] 기말시험에서 경쟁자인 동급생보다 더 잘하기 위하여 열심히 공부하였다.
  4. 수행회피목표: 무능해 보이려는 것을 피하려는 목표(‘나의 목표는 다른 친구들보다 낮은 점수를 받지 않는 거야.’). 수행접근목표를 가진 학생이 반복적으로 실패하면 수행회피 목표를 가지게 됨. 수행회피목표를 가진 학습자는 방어적이고, 무관심과 속임수 등 방어적인 실패 회피전략을 사용하기도 하며, 자기효능감이 낮고, 자신감이 부족하고, 시험과 과제에 대한 불안이 높다. 실패를 반복할 경우는 학습된 무기력 상태가 된다. [이: 동기와 성취를 저해함(특히, 자신감이 부족한 학생)]
  5. 과제회피목표: 숙달목표나 수행목표 둘 다 추구하지 않고, 과제를 최소한의 노력으로 빨리 끝내버리거나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음. 도전적인 과제를 회피함.
  6. 사회적 목표: 사회적 관계 형성과 유지를 추구하는 목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거나 자신이 속한 집단에서 책임을 다하려 함. 청소년기로 접어들면서 더 중요해지는 목표. 사회적 목표는 학습을 저해할 수도 있고(예: 모둠활동에서 친구의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기 위해 틀렸다는 의견을 말하지 않는 것, 친구들과 어울리거나 공부벌레라고 불리지 않기 위해 공부를 멀리하는 것), 지원할 수도 있음(학습에 가치를 두는 또래 집단에 속하는 경우)

숙달목표 지향 방법

  • 적절히 도전적인 과제(학습자 수준에 맞는 과제)를 제시 ->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과제가 너무 쉽거나 너무 어려우면 학생들이 숙달목표를 추구하기 어렵다. [이:  학습자가 적절한 노력을 기울이면 충분히 성공할 수 있는 수준의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함]
  • 경쟁적 평가(성적과 등수 같은 사회적 평가)가 아닌 숙달에 초점을 둔 피드백 제공하기. 과정 중심 평가, 자기 평가. 구체적이 객관적인 피드백. [이: 보상이나 평가가 다른 학생들과의 비교나 경쟁을 지나치게 조장하지 않도록 학습자의 발달, 숙달,성장의 정도를 강조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
  • 잘못된 귀인을 수정하기
  • [이: 과제가 학습자의 배움이나 성장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깨달을 수 있도록 학습자의 생활이나 삶과 연결시켜 줌]
  • [이: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에서 ‘숙달’,‘배우는 과정’,‘수업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달]
  • PQ4R 활용하기[2009 초등]: Preview(훑어보기) - Question(질문하기) - Read(읽기) -Reflect(숙고하기) - Recite(암송하기) - Review(복습하기)
    [2012초등] 학생들이 학습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첫째, 주요 장의 머리말, 요약 등을 읽어 본 후 교재의 각 부분에 관한 질문을 만들어 보게 하고, 내용에 주의를 집중해서 교재를 읽게 한다. 둘째, 교재를 읽는 동안 교재에 대해 반성적으로 사고하도록 한 후 교재를 보지 않고 읽은 내용을 이야기하게 한다. 셋째, 처음에 만들어 놓은 질문에 답해 보도록 한 후 읽은 것을 토대로 복습하도록 한다.

# 무엇이 학업성취에 유리한 목표지향인지가 관건이 아니라, 무엇이 유덕하고 의미 있는 목표지향인지 혹은 허망한 목표지향인지가 관건이겠지. 추구할 만한 숙달목표를 찾도록 돕는 게 교육의 중요한 과제일 텐데, 학생들에게 추구할 만한 숙달목표를 제시해 주지 못하니까 수행목표로만 동기화하게 된다.

 

2. 켈러(Keller)의 ARCS 동기화 모형 [설]

  • 동기 유발을 위한 중요 요소로 주의력(Attention) 집중, 학습할 내용의 관련성(Relevance), 학습에 대한 자신감(Confidence), 학습에 따른 만족감(Satisfaction)을 제안함.
  1. 주의력 환기 전략(학습자극을 적절히 변화시키고 호기심을 환기시키기):
    • 지각적 주의 환기: 새롭거나, 기존의 것과 모순되거나, 불확실하거나, 놀라운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주의를 유발·유지시키기
    • 탐구적 주의 환기: 학습자의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하기 (예: 문제중심 수업 구성, 학생들의 궁금증을 유발할 수 있는 예시 활용)
    • 다양성: 수업의 요소를 변화시킴으로써 학습자의 흥미를 지속시키는 전략. (예: 교수 단위를 짧고 간결하게 구성해서 변화를 제공하거나, 연습 또는 평가 방법을 수업 사이사이에 넣기)
  2. 관련성 향상 전략(과제를 학습자의 개인적 흥미나 목적과 관련시키기):
    • 친밀성: 학습자의 경험과 관련이 있거나 학습자가 추구하는 가치와 관련이 있는 친밀한 용어나 예시, 개념 등을 사용하기
    • 목표지향성: 수업이나 과제를 통해 결과적으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제시하거나, 학습자 스스로가 목표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과제의 가치나 자신과의 연관성을 찾기(예: 학습과제를 실시하기에 앞서 과제가 추구하는 목적이 무엇이며 어떤 실용성을 가지는지 명확하게 알려주기)
    • 학습자의 필요나 동기와 부합하는 교수과정 및 방법 활용하기(예: 비경쟁적, 협동적 학습 상황 조성하기, 모든 학생과 소통하며 인격적으로 대우하기)
  3. 자신감 향상 전략:
    • 학습의 필요조건 제시: 학습자가 성공의 가능성 여부를 사전에 짐작할 수 있도록, 학습 수행에 필요한 조건과 평가 기준을 사전에 제시하기
    • 성공 기회 제공(예: 다양한 수준의 난이도 제공, 쉬운 내용에서부터 어려운 내용으로 수업을 조직)
    • 개인적 조절감 가질 수 있도록 하기(예: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부분을 학습할 수 있게 자율성을 제공, 성공을 개인적 노력으로 돌릴 수 있게 하는 교수자의 피드백이나 칭찬,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이전 학습 보기나 이후 학습 보기와 같은 버튼, 재생속도 버튼을 제공)
  4.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자연적 활용: 새롭게 습득한 지식이나 기능을 실제 또는 모의 상황에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 제공. 학습 후 가능한 빨리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 (예: 연습문제, 모의상황, 게임)
    • 외적 보상: 강화와 피드백
    • 공정성: 수행의 과정이나 결과가 공정했다고 인식하는 것은 학습동기 유지에 매우 중요.

[2016 중등] 학습 동기 향상을 위한 학습 과제 제시 방안 3가지 

 

3. 동기 종합 [원: '만능 해결책']

  1. 달성 가능한 목표를 뚜렷하게 제시하기
  2. 수준에 맞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하기
  3. 성공 모델링 제시, 능력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증진 가능한 것임을 보여주기
  4. 실패 시 능력 부족이 아닌 노력, 전략, 정보 부족으로 귀인하도록 귀인 재훈련
  5. 보상을 통해 성공감, 만족감을 주고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4. 레빈의 포부 수준[이]

  • 레빈은 포부 수준이라는 구인이 기대와 가치 요소를 통함시켜 인간의 인지적 의사결정 과정을 설명
    할 수 있다고 주장함 
  • 포부 수준: 개인 스스로 설정한 목표나 기준. 과제에 대한 과거 경험과 친숙성에 기초함
  • 객관적 기준이 아닌 스스로 세운 주관적인 목표나 수준을 성취했을 때 성공적인 느낌을 더 많이
    받음
  • 과거의 성공 경험은 포부 수준을 증가시키지만, 실패 경험은 포부 수준을 감소시킴 
  • 우수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능력이 낮은 사람들보다 높은 포부 수준을 설정하는 경향 
  • 집단 목표와 수행에 의해 영향을 받고, 집단의 기준에 따라 자신들의 포부 수준을 조절